과제 설명 |
본 세부과제는 공생미생물-병원성세균-숙주간의 다자간 상호작용을 이해하여, 병원성세균의 감염을 억제하는 신개념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함. 항생제 비의존성, 인체 친화적 감염억제제인 인펙토스타틴(infectostatin)의 개발을 위해, 감염억제를 유도하는 (i) 공생미생물 균주의 발굴, (ii) 장내 면역시스템 활성화에 영향을 주는 공생미생물 유래 인자 발굴을 구체적인 목표로 함.|□ 병원성세균 ? 공생미생물 상호작용: ○ 공생미생물 분포 조성 변화 유도 방법 확립 및 분석 시스템 점검 - 16S rRNA gene deep sequencing을 통한 공생미생물 분포 조성 방법 확립 - 항생제 처리를 통한 마우스 공생미생물 분포 조성 변화 유도 - 항생제가 아닌 다른 외부 자극을 통한 마우스 공생미생물 분포 조성 변화 유도 | ○ 감염억제 공생미생물 균주 동정 - 공생미생물 분포조성의 변화가 유도된 마우스에 병원성세균 감염 후 반응 규명 - 병원성세균 제어 유용 공생미생물 발굴 | ○ 마우스 감염 모델에서 감염억제 공생미생물 균주 효능 검증 - 감염 감수성에 영향을 주는 특정 공생미생물의 역할 규명 - Gnotobiotic or semi-gnotobiotic 마우스에서 병원성세균 감염 후 감염 진행 여부 규명 | ○ 마이크로바이옴 인펙토스타틴 개발 - 감염억제 유용 공생미생물 효능 검증 - 감염억제 공생미생물 유래 유용 물질 효능 검증 | □ 공생미생물 - 숙주 상호작용: ○ 공생미생물과 숙주간의 상호작용 연구 모델 시스템 확립 - 숙주 장내 상피세포의 면역 활성화 마커 확인 - 다양한 장내 병원성세균의 감염 모델 확립 | ○ 숙주의 면역활성을 유도하는 공생미생물 유래 물질 동정 - 공생미생물 분포변화가 숙주 면역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규명 - 마우스 장내 환경에 존재하는 숙주유래 metabolite 분석 기법 확립 | ○ 면역활성 유도 물질의 감염억제 효능 검증 - 숙주 면역활성에 영향을 주는 특정 공생미생물의 역할 규명 - 공생미생물 유래 숙주 면역 반응 조절 물질 발굴 | ○ 면역활성 인펙토스타틴 개발 - 숙주 면역활성물질 효능 검증 - 공생미생물-병원성세균-숙주 간의 통합적 상호작용 네트워크 제시 ||□ 본 과제의 성공적인 수행을 통해 내성균주의 출현이 없는 인체친화적, 항생제 비의존적 감염 제어 전략 수립이 가능할 것임. | □ “마이크로바이옴 인펙토스타틴”과 “면역활성 인펙포스타틴”의 개발은 전반적인 감염질환 예방 및 치료에 활용될 것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