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 설명 |
한국인 호발암인 위암의 분자아형중에서 젊은 층에서 말기단계로 발견되는 악성종양인 미만형 위암을 대상으로 미래수요에 대비한 양질의 후성유전체 및 전사체 데이터의 생산하고, 이를 활용한 위암 특이적인 바이오마커를 개발하여 미만형 위암의 진단 및 치료기술 개발을 위한 원천기술을 확보하고자 함|미만형 위암 110예 이상 및 장형 위암과 정상점막 등을 포함한 총 150예 이상의 동결조직으로부터 미세조직세포 분리를 통한 정상점막 및 암조직세포 확보 및 DNA와 RNA 정제 및 확보 동결 분리 세포의 DNA에 대해 Illumina MethylationEPIC BeadChip 기술을 활용하여 유전체의 프로모터 및 인헨서 영역으로부터 총 85만개 CpG site에 대한 후성유전체 정보 생산 동결 분리 세포의 RNA에 대해 RNA-seq 기술을 활용하여 전사체 데이터 생산 데이터 생산 후성유전체 및 전사체 데이터의 통합분석을 통하여 암세포에서의 DMRs 동정 및 DMR 관련 프로모터/인헨서와 연관된 유전자 중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바이오마커 원천기술 확보|미래수요에 대비한 후성유전체 유망분야 기초·원천 기술 확보 및 인프라 구축 후성유전체 기반 미만형 위암 진단기술 개발을 위한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바이오마커 및 진단 시스템의 상용화를 통해 국제 의료 경쟁력을 향상과 국내 의료 산업 육성 미만형 위암 환자의 정확한 위험도 분류 및 치료 방침 설정을 할 수 있는 평가 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미만형 위암 환자의 정밀 의학 실현 미만형 위암 환자 삶의 질을 개선하고, 국민 의료비 부담을 경감 |